본문 바로가기
해보는거지 뭐

우리은행 적금 만기, 연7% 적금의 이자는? (+한도제한계좌...)

by 아라미니 2025. 2. 6.
반응형
반응형

 

지난 1월에 우리은행 1년짜리 적금이 만기가 되었다. 이 적금은 당시에 높은 이자로 광고가 많이 됐었다. 원래 우리은행 계좌가 없었는데, 이 적금을 가입하려고 우리은행 계좌를 텄었다. 그게 벌써 일년이 지나 지난달 만기가 되었다. 

 

이자율은 우리은행 계좌를 새로 만들정도로 높긴했다. 7프로!

 

적금 상품 이름은 우리 퍼스트 정기적금 이다.

 

한달에 50만원씩 1년동안 차곡차곡 넣어 얻은 7%의 이자는 얼마인지 보자.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192,479원의 이자(세후)를 얻을 수 있었다.

 

좀 더 상세히 봐보자.

 

 

 

매달 50만원씩 12개월 넣어 원금은 총 600만원이다.

 

 

우리 퍼스트 정기적금

 

 

적금 만기는 항상 기분이 좋다! 이 금액은 아직까지 어디로 안가고 내 CMA 통장에 고스란히... 고스란히..?

 

아직 남아있기는 한데, 야금야금 쓰다가 언제 없어질지 모르니 빨리 어디로 옮길지 정하긴 해야한다.

 

어쨌든 해지 버튼을 누르면 해지예상조회가 된다. 

 



만기 해지 시 총 예상금액은 6,192,470원이다. 이자는 227,500원이고 세금이 35,030원이다.

 

세금은 어떤 항목으로 빠지는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적금 이자 세금 상세 내역

 

이번 만기 적금에서 이자에 대한 세금은 이자소득세와 지방소득세이다. 

 

이자소득세... 맞아요... 이자로 소득냈으니까... 세금내야죠... 쿨럭 치킨 한마리 덜먹어야겠다...

 

아무튼 이번 적금은 이율이 7%로 매우 높은 편이였기 때문에 이자도 꽤 많이 나온거라고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이 적금 해지하고 나니, 우리은행에서 이 퍼스트 적금 만기 고객 대상으로 다시 적금을 만들면 금리우대를 주는 이벤트를 한다는 광고가 떴다.

 

 

 

 

이 금리우대 쿠폰을 이용하면 원래 이율보다 더 나은 이자를 받을 수 있나보다. 하지만 적용금리가 3.3%에서 4.5%면...

 

 

안그래도 ETF로 복리의 효과를 많이 느끼고 있던지라 적금을 줄이려고 하고 있었기 때문에... 적금을 추가로 만들어야 하는 쿠폰은 사용하지 않는걸로!

 

하지만 자산배분을 위해 현재 있는 적금을 유지하고 만기 후 다른 적금 상품을 이용하여 꾸준히 적금을 하려고 하긴 한다.

 

 

< 한도제한계좌 >

 

문제는 기분좋게 만기해지를 한 후 였다. 만기 해지한 후 입금된 금액은 총 6,192,470원인데, 계속 이체를 실패하는 거다. 

 

이체 한도를 늘리고 몇번이나 시도해도 실패한 끝에 상담원에게 물었다.

 

알고보니 나의 우리은행 계좌는 하루에 백만원 안에서만 출금 및 이체가 가능한 한도제한계좌였던거다.

 

 

한도제한계좌

 

 

 

한도제한계좌는 전자뱅킹 한도와 상관없이 1일 1백만원 내에서만 출금 및 이체가 가능하다. 창구 거래하면 3백만원!

 

 

이 제한을 풀기위해서는 한도증액이 아니라 한도제한계좌 해제를 해야하는데, 증빙자료도 내야하고 심사도 받아야 한다고 한다. 

 

저는 그저 적금 만기액을 이체하고 싶을 뿐인데요..... 심사까지 받아야하나요...

 

그래서 매일매일 100만원씩 이체해서 옮겼다!^^

 

 

어쨌든 적금을 만기까지 잘 유지하고 이자도 받아서 기분이 좋았다!

 

 

반응형